농약사 창업조건 식물보호산업기사 통해 갖추자!
안녕하세요!!
여러분 이제 본격적인 여름이 시작된다고 하는데요. 요즘엔느 4계절이 뚜렷한 느낌이
아니라서 다음 계절인 가을이 순식간에 지나가거나 거의 없다는 느낌까지도 들어요.
사실 가을이 다가옴을 느낄때는 설레임이 큰데요. 천고마비의 계절이기도하지만, 수확의
계절이기 때문입니다.농사를 지으시는 분들의 한해 결과물을 받아보는 시간이기때문에
설레여 하시는 농민분들이 많으실텐데요.
누구나 우리나라사람들은 쌀밥을 먹게 되고 그외의 농작물들도 우리나라에서 자라난
것을을 으뜸으로 치는데요. 언젠가 한번 유기농 열풍이 불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말그대로 농약을 치지않고 자연농법을 통해서 수확한 상/품을 의미하는데요.
이때 당연히 저도 농사에 대해서 잘모르기때문에 당연히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자연상태에서 자라나는 식물들은 병충해나 질병에 의해서 제대로 자라지
못하는 경우가 더욱 많고, 그러다보니 겉모습이나 생산양에도 차질이 생기게 되어서
농약에 대한 중요성이 다시금 떠오르게 되었습니다.
그런 상황이다보니 농약사 창업조건에 관심들이 생기기 시작했고, 농약판매업등록을
위한 조건들을 확인하고 과정을 알아보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더이상 헤메이지 않도록 등록조건부터 해서 필요한 서류들이나,
절차까지도 설명을 드리려고합니다! 그중에서도 먼저 알려드릴건 조건인데요.
여러가지 조건들이 존재하지만, 큰 조건들만 몇가지 알려드리고 만약 한 가지도
해당되는것이 없다면 조금이라도 쉽게 갖출수있는 방법을 권유드릴게요!
먼저 동종업계에서 농업경력이 2년이상인 분들이 가능하지만, 정확한
경력인증을 받을수 있는 서류가 필요합니다. 또는 약사먼허를 보유중이신
분들도 등록이 가능하지만 쉬운길은 아니죠.
그래서 저는 식물보호산업기사를 취득해서 농약사 창업을 준비하시는걸
권유하게 됩니다. 다른 과정들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어렵지 않으면서도
기간도 비교적 단기간이기 때문인데요.
식물보호산업기사 정보
그럼 어떤 자격이길래 농약사 창업이 가능한건지알아보도록 할거예요.
먼저 기본적인 정보들로 시작을 할건데요. 시험은 보통의 산업기사들 처럼
1년동안 최대 3회의 일정이 준비되어 있는데요. 올해는 필기시험의 수는
끝난 상태로 실기시험원서접수만 9월에 남아 있는 상황입니다.
해당일정 참고하셔서 2021년도의 시험을 대비해 계획을 세우신다면
공부와 준비과정을 함께 계획할수 있을거예요.
시험은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으로 진행이 되며, 필기의 경우에는
농약학이나 잡초방제학, 농립해충학과 식물별리학이 포함되어 있고,
실기는 식물보호를 위한 실무 에 관한평가를 받게 됩니다.
시험자체는 필기의 경우 객관식 으로 진행되며 4지 택일형으로
한가지를 선택하게게됩니다. 과목별로 20개의 문항이 존재하며 30분씩
시험을 진행하게됩니다. 실기는 작업형으로 진행하여 수목관련 2시간30분,
농작물관련 2시간씩 시험을 진행하게 되죠.
응시자수는 매년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합격률또한 소폭 상승중입니다.
상대적으로 봐도 다른 산업기사들에 비해서 낮은 합격률이 아니기 때문에
확실한 준비를 거치신다면 충분히 가능성이 있습니다.
준비야 말로 확실한 정답이 될수 있습니다!
여기까지해서 농약사 창업을 위한 식물보호산업기사 정보를 알아봤는데요.
이번에는 응시자격에 대해서 함께 알려드리도록 할게요!
여러가지 조건들이 있지만, 대부분의 학우님들은 해당되는게
없을거라고 생각이 됩니다. 실제로 저도 조건에 맞는게 없어요.
관련 학과의 2년제 이상 대학을 나온것도 아니고 실무경력이
2년이 넘는것도 아니고 기능사가 있어도 실무가 1년이 넘지않기에
저는 학점을 통해서 41학점 이상을 취득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다른 과정들이랑 비교했을때 기간이 그리 길지도않으면서도,
생업이나 바쁜일상과 병행이 가능하다는장점이 있기에 학교를
다니는것보다는 편하게 됩니다.
자신이 일을 하고 있고 생업이기 때문에 멈출수가 없는 상황에
있으신 분들도 분명히 계실거라고 생각하는데요. 그런 경우에
시간을 들여서 학교를 다니거나 밖으로 나가려고 한다면 가능할까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쉽지않은 결정이라고 생각이 들어요. 그렇기에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자신이 가능한 시간에만 공부를 하는
방식의 진행으로 학점을 취득해서 농약사 창업에 관한 조건인
식물보호산업기사 응시자격을 갖출수가 있습니다.
디른 기간들에 비해서 단기간이라고 말씀을 드렸는데요. 보통
2년이상의 시간이 걸리게 되는데요. 하지만 학점을 이수하는 방식은
41학점의 경우 평균적으로 2학기 과정으로 진행하게 되어서
짧은 시간을 요구하게 됩니다.
대학졸업과 비교한다면 전문대 기준으로 절반정도의 시간이 흐르게
된다는것이죠. 게다가 추가로 학위까지도 생각해볼수가 있어서
필요한 점이나 장점이 많게 됩니다.
공부를 혼자서 진행하는것이 아니라, 함께 진행해 나가면서
그 안에서 함께 배워가는 과정을 통해서 문제 없이 자신의
꿈을 이루어 나갈수가 있게 됩니다.
어려움은 나누면 반이되고 기쁨은 두배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학우님들과 함께 '농약사 창업조건 식물보호산업기사 통해 갖추자!'
의 주제에 맞춰서 목표를 달성할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